복강내 장기는 복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복강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탈장이라고 하며, 특히 서혜부(사타구니) 주변을 통해 빠져나간 경우를 서혜부 탈장이다.
직접 탈장은 서혜부 후복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튀어나오게 되며 유아나 유아에서 주로 발생하는 간접 탈장은 선천적으로 막혀야 할 서혜부관이 열린 채 남아 있으며, 이를 통해 장기가 빠져나가는 경우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17년 탈장으로 치료받은 환자는 약 7만4000명에 달한다.
이 중 서혜부 탈장이 약 70%로 가장 비중이 높으며, 여성보다 남성에서 8배나 많이 발생한다.
이는 서혜부를 지탱하고 있는 복벽의 근육·인대 등이 나이가 들면서 약해지거나 느슨해져 후천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소아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증상 가끔 고간이 커지는 증상을 호소하는, 대개 힘을 넣고 오래 서는 것과 관계가 있다.
또, 덩어리가 언급하지 않는 것에 한쪽의 사타구니가 불편한 것도 있다.
이런 경우 의도적으로 변을 보거나 기침을 할 때처럼 배에 힘을 넣으면 증상이 발생한다.
남성의 경우 고환까지 덩어리가 내려오고 만지는 경우가 있다.
드물게는 사타구니에 이상한 점이 관찰되지 않고 소장 폐쇄 증상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 진단 가장 주요한 검사는 선 상태에서 기침을 하거나 편을 할 때처럼 배에 힘을 넣도록 하고 서혜부를 촉진하는 것이다.
탈장이 되면 부드러운 둥근 표면을 가진 덩어리가 나오면서 힘을 넣으면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집게 손가락을 탈장하고 난 바깥 구멍에 넣어 고환을 포함하면 탈장 주머니(탈장이 밀려나는 복벽의 대부분)을 보다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 검사학적 검사에서 대부분 진단할 수 있다.
진단이 애매 모호하거나, 탈장 주머니 안에 어떤 장기가 들어 있는지, 장기의 상태가 어떤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서혜부에 초음파를 시행하기도 한다.
소장 등이 탈장하고 다시 복부에 들지 않는 감금 상태에 될 경우 복부 CT를 갖고 장의 감금 범위, 장의 상태 등을 파악하기도 한다.
●치료 탈장낭 내로 장이 내려가는 경우, 먼저 누운 상태에서 손으로 눌러 복강 안으로 밀어 넣는다.
집에서 이런 조치를 취해도 장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한다.
병원에서 통증을 조절한 상태에서 우선 의사에 의해 도수 정복(손으로 제자리로 되돌리는 시술)을 시도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도수 정복이 실패해 응급으로 수술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어쨌든 성인 서혜부 탈장은 반드시 수술해야 한다.
성인 탈장은 재발도 좋아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탈장혈이 점차 넓어지고 심해지기 때문이다.
수술은 원칙적으로 탈장낭을 제거하거나 묶어 후복벽을 보강하는 것으로 이뤄진다.
탈장수술은 수술 후 바로 퇴원이 가능하고 일상생활 환원이 가능하다.
1) 개방탈장수술(open hernia repair)국소 마취 및 진정제 또는 전신 마취로 할 수 있는 이 수술은 외과의사는 사타구니를 절개해 돌출된 조직을 복부로 다시 밀어 넣는다.
이후 외과의사들은 약해진 부위를 꿰매 가끔 합성망사(synthetic mesh)로 보강하는 탈장성형술(hernioplasty)을 시행한다.
그 후 구멍은 바늘, 스테이플 또는 수술용 접착제로 닫는다.
수술 후 최대한 빨리 움직이는 것이 권장되지만 정상적인 활동을 재개하려면 몇 주가 걸릴 수도 있다.
2)최소 침습 탈장 수술(minimally invasive hernia repair)전신 마취가 필요한 이 순서에서 외과 의사는 복부에 복수의 작은 절개를 통해서 수술한다.
의사는 복강경 또는 로봇 기구를 사용하고 탈장을 치료할 수 있다.
가스는 내부 장기를 더 쉽게 볼 수 있게 복부를 팽창시키는 데 사용된다.
작은 카메라(복강경, laparoscope)가 장착된 작은 튜브를 하나의 절개 부분에 삽입한다.
카메라의 안내에 따라서 의사는 합성 메시(synthetic mesh)를 사용하고 탈장을 복구하기 위해서 다른 작은 절개를 통해서 작은 도구를 삽입한다.
최소 침습적 수리를 받은 사람은 수술 후의 불편과 상처가 적고 정상적인 활동에 빨리 돌아갈 수 있었다.
그러나 복강경 수술과 개방 탈장 수술의 장기 결과는 비슷하다.
최소 침습 탈장 수술은 외과 의사들이 초기 탈장 수리에 의한 상처 조직을 피할 수 있게 하므로 개방 탈장 수술 후에 탈장이 재발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또 몸 양쪽에 탈장이 있는 사람에게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개복 수술과 마찬가지로 평소의 활동 수준에 돌아가려면 몇주일 걸리기도 있다.
●경과/합병증 서혜부 탈장은 손으로 만지고 누르면 정상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치료하지 않고 그냥 지켜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수술로 탈장된 부위를 막고 교정해야 완치되기 때문에 수술을 해야 한다.
간혹 수술을 하지 않고 지켜보다 탈장낭(탈장된 장이 밀려나는 복벽의 대부분) 안에 장이 내려와 다시 복강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는 감금 상태가 되기도 하며 이 경우 빠른 시일 내에 복강 안으로 복귀시키지 않으면 장이 썩는다.
이럴 경우 배를 열고 장을 잘라야 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탈장수술을 해야 한다.
서혜부 탈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다만 탈장이 있을 경우 장이 나오는 것을 유발할 수 있는 인자(간경변으로 인한 복수, 변비, 무거운 물건 들림, 만성기침 등 복압 상승 요인)를 미리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